○곁드린 자료 성씨(姓氏)3
11. 니마합씨(尼瑪哈氏)
1) 니마합씨(尼瑪哈氏) : 니마합(尼瑪哈)은 만주의 한 성(姓)이다. 이 성은 대대로 요양(遼陽) 지방에서 살아왔다. 尼瑪哈氏 〈尼瑪哈 為滿洲一姓 此一姓 世居遼陽地方〉
2) 니마합(尼瑪哈) : 만주어이다. ‘물고기(魚)’라는 뜻이다. 옛날에 점몰한(粘沒罕)이라고도 쓴다. 尼瑪哈〈滿洲語魚也,舊作粘沒罕〉
3) 니마합(尼瑪哈) : 니방고(尼龐古)라고도 쓴다. 尼瑪哈 〈卷一作尼龐古 今從八旗姓氏通譜改正〉
4) 니마합(尼瑪〈哈〉) : 원래 니방고(尼厖古)라 쓰기도 한다. 尼瑪〈哈〉 〈原作尼厖古〉
5) 니마합(尼瑪哈) : 니방고(尼龐古)라고도 쓰고 니방굴(尼龐窟)이라고도 쓴다. 尼瑪哈 〈卷八作尼龐古 卷五十五作尼龐窟 並從八旗姓氏通譜改正〉
6) 니마합(尼瑪哈) : ‘물고기(魚)’라는 뜻이다. 점몰갈(粘沒噶)이라고도 쓴다. 尼瑪哈 〈魚也 卷六 作粘沒噶〉
7) 니마합씨(尼瑪哈氏) : 금나라 태조가 군대를 오로지 기울여 니마합부(尼瑪哈部)의 백혁(伯赫), 포이갈(布爾噶) 등을 쳐서 평정하였다. 대정(大定 금 세종의 연호 1161~1189년) 때에 진사(進士) 니마합감(尼瑪哈鑑)이 여러 번 공을 세워 참지정사(參知政事) 벼슬에 올랐다. (흠정속통지 82권) 欽定續通志卷八十二:尼瑪哈氏 〈太祖以偏師 伐尼瑪哈部 伯赫 布爾噶等 平之 遂獲其衆 大定中 進士尼瑪哈鑑累官參知政事〉
*백혁(伯赫) : ‘묵묵하다(墨)’라는 뜻이다. 발흑(跋黒)이라고도 하고 발흑(孛黒)이라고도 한다. 伯赫 〈墨也 卷一 作跋黒 卷八十四 作孛黒 並改〉
*탑랍포〈이〉갈(塔拉布〈爾〉噶) : 만주어이다. 탑랍(塔拉)은 ‘야외(野外)’라는 뜻이다. 포이갈(布爾噶)은 ‘버드나무 가지(柳條)’라는 뜻이다. 전리부로알(田裏不魯斡)이라고도 한다. 땅 이름이다. 塔拉布〈爾〉噶 〈滿洲語 塔拉 野外也 布爾噶 柳條也 卷六十八 作田裏不魯斡 地名〉
12. 주가씨(珠嘉氏)
1) 주가(珠嘉) : 옛날에 술갑(术甲)이라고 썼다. 팔기성보(八旗姓譜)에 나와 있다. 珠嘉〈舊作术甲,從八旗姓譜改正〉
2) 주가씨(珠嘉氏) : 주가부(珠嘉部)에 뿌리를 둔다. 주가새음(珠嘉賽音), 주가신가(珠嘉臣嘉) 주가불신(珠嘉佛紳) 등이 있다. 珠嘉氏〈本珠嘉部 有珠嘉賽音 珠嘉臣嘉 珠嘉佛紳等〉
*새음(賽音) : 만주어이니 ‘좋다(好)’라는 뜻이다. 賽音 〈滿洲語賽音好也〉
*불신(佛紳) : 만주어이니 ‘자루(柄)’라는 뜻이다. 옛날에 법심(法心)이라고 썼다. 佛紳〈滿洲語柄也,舊作法心〉 13. 아극점씨(阿克占氏)
1) 아극점씨(阿克占氏) : 아극점(阿克占)언 만주의 한 성(姓)이고 그 씨족은 합달(哈達) 등 지방에 흩어져 산다. 阿克占氏〈阿克占 為滿洲一姓 其氏族散處於哈達等地方〉
2) 아극점씨(阿克占氏) : 합달(哈達), 섭혁(葉赫) 등 지방에 흩어져 산다. 阿克占氏〈散處哈達 葉赫等地方〉
3) 아〈극〉점阿(〈克〉占) : 아전(阿典)이라고도 쓴다. 팔기성씨통보(八旗姓氏通譜)에 나와 있다. 부족 이름이다. 阿〈克〉占 〈卷一作阿典 今從八旗姓氏通譜改正 部名〉
4) 아극점씨(阿克占氏) : 아극점 부락(阿克占部)에 뿌리를 둔다. 정융(正隆 : 금 해릉(海陵)왕의 세 번째 연호 1156-1161년) 때에 이부시랑(吏部侍郎) 아극점합사한(阿克占哈斯罕) 대정(大定 : 금 세종의 연호 1161-1189년) 때에 직수장군(直宿將軍) 아극점부륵호(阿克占富勒呼)가 있다. 阿克占氏〈本阿克占部 正隆中 吏部侍郎阿克占哈斯罕 大定中 直宿將軍阿克占富勒呼〉
5) 아〈극〉전(阿〈克〉展) : “만주어이니 ‘우레(雷)’라는 뜻이다. 아고진(阿古軫)이라고도 쓰고 아고진(阿古真)이라고도 쓰는데 이는 사람 이름들인데 한 사람이 아니다. 阿〈克〉展 〈滿洲語 雷也 卷十八 作阿古軫 又卷七十九 作阿古真 非一人 併改〉
13-1 합달(哈達)
1) 합달(哈達) : 산봉우리(山峯)라는 뜻이다. 哈達〈國語山峯也〉
2) 합달 옛성(哈達舊城) : 합달(哈達)은 성경성(盛京城) 동쪽 60리(里)에 있다. 명나라 때 광순관(廣順関)을 이곳에 설치하였다. (지금 요녕(遼寧) 개원(開原) 동쪽 정안보(靖安堡) 동쪽에 있다.) 또한 남관(南関)이라고도 한다. 뒤에 합달패륵(哈達貝勒)에 의해 옮겨졌는데 지금 성(城)은 무너져 사라졌으니 상고할 근거가 없다. 哈達舊城〈哈達 國語解見京城卷 城東六十里 明時 置廣順関于此 亦曰南関 後為哈達貝勒所居 今城圮無考〉
3) 합달산(哈達山) : 성경성(盛京城) 동쪽 100리(里)에 있다. 민간에서는 합달리(哈達哩)라고 부르는데 청하(清河)가 이곳에서 발원한다. 哈達山〈國語解已見 前注城東一百里 俗呼哈達哩 清河發源於此〉
4) 합달하(哈達河) : 성경성(城) 동남쪽 195리(里)에 있다. 원래 길림(吉林) 달양아령(達揚阿嶺)에서 나와 달양아령하(達揚阿嶺河)와 만나 청하(清河)가 된다. 哈達河〈國語解已見 前注城東南一百九十五里 原出吉林達揚阿嶺 與達揚阿嶺河㑹為清河〉
5) 합달하(哈達河) : 합달(哈達)은 국어해(國語解)에서 봉천부(奉天府) 산천권(山川卷)에 보인다. 성경성(城) 서남쪽 6백 리(里)에 있으니 근원은 달양아령(達揚阿嶺)에서 나와 서쪽으로 흘러가 영아(英峩)의 변문(邊門)을 따라 북쪽으로 흘러 개원현(開原縣)의 땅 안으로 들어가서 곧 청하(清河)가 된다. 한편 서쪽에도 하천이 있으니 아제납하(阿濟納河)라고 한다. 哈達河〈哈達 國語解見奉天府山川卷 城西南六百里 源出達揚阿嶺 西流 由英峩邊門 北入開原縣界内 即為清河 又西有河曰 阿濟納河〉
6) 소청하(小清河) : 성(城) 남쪽 2리(里)에 있다. 근원은현(縣) 동남쪽 가 밖의 달양아령(達揚阿嶺)에서 나오니 합달하(哈達河)라고 한다. 이 물이 서쪽으로 흘러 각라아로(覺羅阿嚕), 십팔리(十八里) 등의 하천과 만나 소청하(小清河)가 된다. 현(縣) 동남쪽에 이르고 대청하(大清河)와 만나 합쳐 흐르니 이들을 아우른 이름이 청하(清河)이다. 다시 서쪽으로 흘러 요하(遼河)로 들어간다. 小清河 〈城南二里 源出縣東南邊外達揚阿嶺 曰哈達河 西流合覺羅阿嚕 十八里等河 爲小清河 至縣東南 與大清河合流 總名清河 又西入遼河〉
7) 청룡동하(青龍洞河) : 또한 수동(水洞)이라고도 한다. 성(城) 서남쪽 140리(里)에 있다. 근원은 청룡동산(青龍洞山)에서 나오는데 민간에서는 합달동하(哈達洞河)라고 한다. 서남쪽으로 흘러 태자하(太子河)로 들어간다. 青龍洞河 〈又名水洞 城西南一百四十里 源出青龍洞山 俗名哈達洞河 西南流入太子河〉
8) 청하(清河) : 성(城) 서남쪽 145리(里)에 있다. 근원은 마호령(瑪呼嶺)에서 나와 태자하(太子河)로 들어간다. 우리 태조(청나라)께서 계사년(癸巳年)에 섭혁(葉赫), 합달(哈達) 등 이곳의 아홉 부락을 깨뜨렸다. 살펴보면 청하(清河) 남쪽에 갈라져 흐르는 것을 석하(石河)라고 하고 다시 남쪽으로 흐르는 것을 합습마하(哈什瑪河)라고 한다. 清河 〈城西南一百四十五里 源出瑪呼嶺 入太子河 我太祖癸巳年 破葉赫哈達等九部兵於此 按清河之南支流曰石河 又南曰哈什瑪河〉
9) 아제격화탁봉(阿濟格和托峯) : 아제격(阿濟格)은 국어해 봉천부 산천권(奉天府山川卷)에 보인다. 화탁(和托)은 ‘민둥머리(頭秃)’를 뜻한다. 성(城) 서남쪽 5백 여리(餘里)에 있다. 봉우리 높이는 3리(里)이고 둘레는 40 여리(餘里)이다. 산 서쪽 개원현(開原縣)에 합달 옛성(哈達舊城)이 있었으나 지금은 허물어졌다. 阿濟格和托峯〈阿濟格國語解見奉天府山川卷和托頭秃也城西南五百餘里髙三里週圍四十餘里山之西有哈達舊城在開原縣今毁〉
* 아제격(阿濟格) : 만주어이니 ‘작다(小)’라는 뜻이다. 아지길(阿只吉)이라고도 한다. 阿濟格 〈滿洲語 小也 卷四作阿只吉〉
10) 호란합달(呼蘭哈達)로 옮겨 살게 하였다. 〈호란(呼蘭)은 ‘아궁이의 굴뚝(竈突)’이라는 뜻이다. 합달(哈達)은 ‘봉우리’라는 뜻이다.〉 遷居呼蘭哈達〈國語呼蘭竈突也哈達峯也〉
11) 호란합달(呼蘭哈達)은 조돌산(灶突山)이라고도 하고 민간에서는 연통산(煙筒山)이라고 한다. 지금 요녕(遼寧) 신빈(新賓) 만족자치현(滿族自治縣) 서쪽 영릉진(永陵鎮)에 있다.
13-2 섭혁(葉赫)
1) 섭혁성(葉赫城) : 섭혁(葉赫)은 국어해(國語解) 길림산천권(吉林山川卷)에 보인다. 성(城) 서쪽 495리(里)에 있으니 옛날에 섭혁패륵(葉赫貝勒)에 의해 섭혁부(葉赫部) 사람들이 이곳에 살게 되었다. 둘레는 4리(里)이고 동서의 두 문이 있고 또한 섭혁산성(葉赫山城)이 섭혁성(葉赫城) 서북쪽 3리(里)에 있다. 둘레는 4리(里)이고 남북의 두 문이 있다. 안으로 작은 성(城)이 있어 둘레가 2리(里)이고 이 작은 성도 남북의 두 문(門)이 있다. 명나라 때 이 땅에 북관호시(北闗互市)를 설치하였고 또한 섭혁산연부성(葉赫珊延府城 : 지금 길림성 이통현(伊通縣))을 두었으니 섭혁성(葉赫城)과 서로 거리가 1리(里 : 500미터)쯤 되고 그 둘레는 160보(步 1보는 대략 1.5-2미터)이다. 문 하나로 서로 말을 전달한다. 모두 섭혁부(葉赫部 : 섭혁은 지명이자 부족 이름)가 쌓은 것이다.
*패륵(貝勒) : 온전한 명칭은 ‘다라패륵(多羅貝勒)’이다. 만어(滿語)로 귀족을 일컫는다. 청나라 때의 세습된 작위로 지위는 황제 다음의 서열인 친왕(親王), 친왕(親王)보다 한 등급 낮은 군왕(君王) 다음의 지위를 차지한다.
*호시(互市) : 서한(西漢 : 존립 BC 202~AD 8) 때 흉노, 남월(南越)과의 관시(關市)를 열어 무역을 진행하였는데 동한(東漢 : 존립 AD 25~220년) 때 오환(烏桓), 선비(鮮卑), 흉노(匈奴) 등과의 무역을 ‘호시(互市)’라고 처음으로 일컬었다고 한다.
2) 섭혁산(葉赫山) : 섭혁(葉赫)은 ‘잿물에 누인 삼(練麻)’이라는 뜻이다. 성(城) 서쪽 390리(里)에 있다. 葉赫山〈國語 葉赫練麻也 城西三百九十里〉
3) 섭혁하(葉赫河) : 예전의 성(城) 서쪽 480 여리(餘里)에 있으니 근원은 갈합령(噶哈嶺)에서 나와 첨하(瞻河)로 들어간다. 葉赫河 〈葉赫 國語解見本卷 前城西四百八十餘里 源出噶哈嶺 入瞻河〉
4) 살펴보면 섭혁(葉赫)이 상대적으로 가깝고 달희목로산(達喜穆魯山)은 분수령이 되어 남쪽이 첨하(瞻河 또한 고니하(古尼河)라고도 함), 북쪽이 섭혁(葉赫)이 된다. 考葉赫相近 惟達喜穆魯山南為瞻河 北為葉赫
*첨하(瞻河) : 지금 요녕(遼寧) 개원시(開原市) 동북의 구하(寇河)
*첨하(瞻河) : 첨(瞻)은 ‘우는 화살(哨箭)’이라는 뜻이다. 성(城) 서남쪽 570 여리(餘里)에 있다. 근원은 둘이 있으니 그 하나는 향령(香嶺)에서 나오고 나머지 하나는 안파화탁봉(安巴和托峯)에서 나온다. 북쪽으로 흐르다 경객산(耕客山)에 이르러 합하여 한 하천이 된다. 이 물이 서남으로 흘러 위원보(威逺堡)의 변문(邊門)으로 들어가 구하(扣河)가 되어 청하(清河)로 들어간다. 그러다가 다시 갈라져 흐르니 이를 점니하(占泥河)라 부른다. 瞻河 〈國語 瞻哨 箭也 城西南五百七十餘里 源有二 一出香嶺 一出安巴和托峯 北流至耕客山 合為一河 西南流入威逺堡邊門 為扣河 入清河 又支流曰占泥河〉
*대청하(大清河) : 성(城) 동쪽 30리(里)에 있다. 근원은 둘이 있는데 하나는 길림성(吉林城) 서남쪽 향령(香嶺)에서 나오고 하나는 길림성(吉林城) 서남쪽 안파화탁봉(安巴和托峯)에서 나와 모두 북쪽으로 흘러 흥극산(興克山)에 이르러 합쳐 하나의 하천이 되니 첨하(瞻河)라고 한다. 다시 서남쪽으로 흘러 섭혁하(葉赫河)를 만나 위원보변(威逺堡邊)으로 들어가 개원현(開源縣) 땅에 이르러 대청하(大淸河)가 된다. 또한 구하수(扣河水)라고 부른다. 남쪽으로 흘러 개원현 동남쪽에 이르고 소청하(小清河)가 동남쪽에서 흘러와 만나 합쳐 흘러 요하(遼河)로 들어간다. 大清河〈城東三十里 源有二 一出吉林城西南香嶺 一出吉林城西南安巴和托峯 俱北流 至興克山 合為一河 名瞻河 又西南㑹葉赫河 入威逺堡邊 至開源縣界 為大淸河 亦曰扣河水 南流 至縣東南 小清河自東南來 㑹合流入遼河〉
*과제극산(科齊克山) : 과제극(科齊克)은 ‘비둘기(鴿子)’라는 뜻이다. 성(城) 서남쪽 400리(里)이니 섭혁성(葉赫城) 북쪽에 있다. 산 위에 수등보(蒐登堡)가 있다. 科齊克山〈國語 科齊克 鴿子也 城西南四百里 在葉赫城北 上有蒐登堡〉
*달희목로산(達喜穆嚕山) : 달희(達喜)는 ‘중첩(重叠)’이라는 뜻이다. 목로(穆嚕)는 ‘용마루(房脊)’라는 뜻이다. 또한 산마루(山梁)를 말한다. 성(城) 서남쪽 500리(里)에 있고 높이가 2리(里)이고 둘레가 40 여리(餘里)이며 남쪽으로 첨하(瞻河)이고 북쪽으로는 섭혁(葉赫)이다. 達喜穆嚕山〈國語 達喜 重叠也 穆嚕 房脊也 又曰山梁也 城西南五百十里 髙二里 周四十餘里 南為瞻河 北為葉赫〉
*몽고탑(䝉古塔) : 성(城) 서남쪽 500리(里)에 있으니 섭혁성(葉赫城) 서남쪽 40리(里)이다. 䝉古塔〈城西南五百里 在葉赫城西南四十里〉
○곁드린 자료 원문 성씨(姓氏)3
13-2 섭혁(葉赫)
1) 葉赫城 〈葉赫 國語解見吉林山川卷 城西四百九十五里 舊為葉赫貝勒所居 週圍四里 東西二門 又有葉赫山城在葉赫城西北三里 週圍四里 南北二門 内有小城 週圍二里 南北二門 明時 於其地置北闗互市 又有葉赫珊延府城 與葉赫城相距里許 週圍一百六十步 門一相傳 皆葉赫所築〉
'여진(女真) 말갈(靺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나라 태조의 조상은 고(구)려인 함보(函普)이다 1 (3) | 2023.09.09 |
---|---|
○곁드린 자료 성씨(姓氏)4 (0) | 2023.09.06 |
여진(女真)〈삼조북맹회편(三朝北盟㑹編) 3권〉 9 (2) | 2023.09.01 |
여진(女真)〈삼조북맹회편(三朝北盟㑹編) 3권〉 8 (1) | 2023.08.28 |
여진(女真)〈삼조북맹회편(三朝北盟㑹編) 3권〉 7 (0) | 202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