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진(女真) 말갈(靺鞨)

○금나라 건국의 주역 완안부 주변 6

by 쥐눈이 2023. 10. 12.

10. 호이객하(瑚爾喀河)

1) 호이합하(呼爾哈河), 홀한해(忽汗海), 호이합(呼爾哈), 호리개(胡里改), 홀아해(忽兒海), 호리개(呼里改), 호이한해(呼爾罕海), 호이객(虎爾喀)이라고도 하였다. 당나라에서는 홀한하(忽汗河), 금나라에서는 활라해(活羅海) 원나라에서는 호리개강, 명나라에서는 홀아해하(忽兒海河) 또는 호이해하(呼爾海河)라 하였다 한다. 길림성과 흑룡강성의 경계에 있는 무단강으로 송화강의 지류라 한다.

2) 호이합(呼爾哈) : 영고탑(寧古塔)에 하천 이름이다. 옛날에는 호리개(胡里改)라고도 썼다. 呼爾哈寧古塔 河名也 舊作胡里改 今改正

3) 홀한(忽汗)은 또한 휘한(輝罕) 이다. 휘한(輝罕)은 만주어이니 둘러싸인 마당, 또는 사냥터(圍場)’을 뜻한다. 홀한(忽汗)이라고도 쓰니 성() 이름이다. 또한 주() 이름이다. 輝罕 〈滿洲語 圍場也 卷二 作忽汗 城名 卷三十八 又州名

4) 활라해(活羅海)는 호()이다. 호이합() : 활라해(活羅海), 골리개(鶻里改), 호리개(胡里改)라고도 쓴다. 팔기성씨통보(八旗姓氏通譜)에 따라 고쳐 바로잡았다. 하천() 이름이자 지역 이름(路名)이다.  〈卷一 作活羅海 卷三 作鶻里改 卷六 作胡里改 並從八旗姓氏通譜改正 川名 又路名

5) 호이합() : 호리개(胡里改), 호리해(胡里該)라고도 쓴다. 강 이름이다.

 〈卷三十四 作胡里改 又作胡里該 今並從八旗姓氏通譜改正 江名

6) 화륜(和掄) : ‘위엄()’을 뜻한다. 활라(活羅)라고도 쓴다. 和掄 〈威也卷一作活羅

11. 해란(海蘭) : 해란 지역은 우리 고려 역사와 관련이 깊다.

1) 해란은 합란(合蘭), 합란(合嬾), 야라(耶懶), 압라(押懶), 갈라(曷懶), 알라(謁懶)라고도 한다.

2) 해란(海蘭) : 만주어이니 느릅나무(榆樹)’를 뜻한다. 해령(頦領)이라고도 쓰니 요()나라 먼 조상이다. 海蘭 〈滿洲語 榆樹也 卷二 作頦領 遼逺祖

3) 해란(海蘭) : 만주어이니 느릅나무(榆樹)’를 뜻한다. 갈라(曷懶)라고도 쓰니 하천이름이다. 또한 알라(謁懶)라고도 쓴다. 땅이름이다. 海蘭 〈滿洲語 榆樹也 卷十九 作曷懶 河名 又卷六十八 作謁懶 地名 並改

4) 해란(海蘭) : 만주어이니 느릅나무(榆樹)’를 뜻한다. 해린(孩鄰), 해린(海鄰)이라고도 쓴다. 사람이름이니 한 사람이 아니다. 海蘭 〈滿洲語 榆樹也 卷七十六 作孩鄰 又卷一百十二 作海鄰 非一人 並改

5) 해란(海蘭) : 느릅나무(榆樹)’를 뜻한다. 해라(孩懶), 갈라(曷懶), 합라(合懶)라고도 쓴다. 물 이름이고 또한 지역 이름이다. 海蘭 〈榆樹也 卷一作 孩懶 卷三 作曷懶 卷二十四 作合懶 並改水名 又路名

6) 화탁해란(和卓海蘭) : 화탁(和卓)아름답고 곱다(美麗)’를 뜻한다. 해란(海蘭)느릅나무(榆樹)’를 뜻하다. 화술해란(和術海鸞)이라고도 쓰니 땅 이름이다. 和卓海蘭 〈和卓 美麗也 海蘭 榆樹也 卷八十二 作和術海鸞 地名

7) 해란오주(海蘭烏珠) : 해란(海蘭)느릅나무(榆樹)’를 뜻한다. 오주(烏珠)머리()를 뜻한다. 합라합올주(合懶合兀主)라고도 쓰니 땅 이름이다. 海蘭烏珠 〈海蘭 榆樹也 烏珠 頭也 卷一百四 作合懶合兀主 地名

8) 해란(海蘭) : 만주어이니 느릅나무(榆樹)‘를 뜻한다. 합라(合懶), 합란(合蘭)이라고도 쓴다. () 이름이다. 합달(合獺)라고도 쓰니 지역() 이름이다. 海蘭 〈滿洲語 榆樹也 卷六 作合懶卷五十九 作合蘭 府名 卷九十四 作合獺 路名 並改

12. 서번(舒藩)

1) 서번(舒藩) : 나랏말(만주어)이니 주름 무늬(縐文)’를 뜻한다. 舒藩國語縐文也

2) 서번하(舒藩河) : 나랏말(만주어)이니 서번(舒藩)주름 무늬(褶文)’를 뜻한다. () 동남 5백여 리에 있고 수원은 동남 황산(荒山)에서 나와 동남으로 흐르다 수분하(綏芬河)로 들어간다.舒藩河 在城東南五百餘里 源出東南荒山 東南流入綏芬河

3) 서번하(舒藩河) : 나랏말(만주어)이니 서번(舒藩)주름 무늬(褶文)’를 뜻한다. () 동남 5백여 리에 있고 수원은 동남쪽 황산(荒山)에서 나와 동남으로 흐르다 수분하(綏芬河)로 들어간다.舒藩河 國語 舒藩 褶文也 城東南五百餘里 源出東南荒山 東南流 入綏芬河

4) 서번하위(舒藩河衛) (출처 : 성경통지) : 서번(舒藩)은 국어해(國語解)에는 길림산천권(吉林山川卷)에 보인다. 두 가지가 있다. 옛날에 사방(使坊)이라 잘못 적었고 다시 출만(出萬)이라 잘못 적었는데 지금 아울러 가려서 고쳤다. 살펴보면 서번하(舒藩河)는 영고탑성(寧古塔城) 동남에 있으니 자세한 것은 산천권(山川卷)에 보인다.舒藩河衛舒藩 國語解 見吉林山川卷 有二 舊訛使坊 又訛出萬 今並譯改 案舒藩河在寧古塔城東南 詳見山川卷(欽定盛京通志)

13. 부이단성(출처 : 성경통지)

1) 부이단성(富爾丹城) : 부이단(富爾丹)은 국어해(國語解) 길림산천권(吉林山川卷)에 보인다. () 동남 650리이고 둘레는 3()에 문이 넷이다. 그 동북에 다시 한 작은 성(小城)이 있어 둘레가 2()이고 남문과 서문, 북문이 있다. 민간에서는 이 역시 부이단성(富爾丹城)이라 부른다.富爾丹城 富爾丹 國語解 見吉林山川卷 城東南六百五十里 週圍三里 門四 其東北又一小城 週圍二里 南西北三門 俗亦稱富爾丹城

2) 부이단하(富爾丹河) : 나랏말(만주어) 부이단(富爾丹)빗장, 관계하다()’를 뜻한다. () 동남 650 리에 있고 수원은 성() 동남 8백 리, 이름없는 작은 산에서 나와 서남으로 흐르다 수분하(綏芬河)로 들어간다.富爾丹河國語富爾丹闗也城東南六百五十里源出城東南八百里無名小山西南流入綏芬河(欽定盛京通志)

14. 득승타(得勝陀) : 금 태조가 군사들과 출정의식을 치른 곳

1) 득승타(得勝陀) : 곧 액특혁갈산(額特赫噶珊)이다. () 태조(太祖)가 출정에 앞서 군사들과 맹세한 땅이다. 나랏말 액특혁(額特赫)이기다()’를 뜻한다. 갈산(噶珊)은 국어해(國語解) 길림산천권(吉林山川卷)에 보인다.(갈산은 고향, , 마을()을 뜻한다.) 홀토애갈만(忽土皚葛蠻)이라고도 썼다. 得勝陀即額特赫噶珊 金太祖誓師之地 國語額特赫 勝也 噶珊 國語解見吉林山川卷 原作忽土皚葛蠻 今譯改

2) 득승타(得勝陀) : 나랏말은 액특혁격문(額特赫格們)이다. 만주어이니 액특혁(額特赫)이미 이겼다(已勝)’를 뜻한다. 격문(格們)큰 도시, 도회(都㑹)’를 뜻한다. 옛날에 홀토애갈만(忽土皚葛蠻)이라고도 썼다 得勝陀 國言曰額特赫格們 滿洲語 額特赫 已勝也 格們 都㑹也 舊作忽土皚葛蠻 今改正

15. 훈춘하(琿春河) (출처 : 대청일통지 45): 영고탑성(寕古塔城) 동남 6백 리에 있고 수원은 통긍산(通肯山)에서 나오는데 여러 물줄기가 모여 서남으로 흐르다 도문강(圖們江)으로 들어간다. 금사세기(金史世紀)에 훈춘수(琿春水)와 통문수(統門水 : 통문은 圖們의 다른 표기로 나와있다)가 하나 되어 흐른다는 말이 있는데 바로 이것이다. 또한 륵탑하(勒塔河)가 성() 동남 430리에 있어 수원은 조리산(笊籬山)에서 나오고 음달하(諳達河)가 성 동남 620리에 있어 수원은 오이혼산(烏爾琿山)에서 나오는데 이들 모두 서쪽으로 흐르다 훈춘하(琿春河)에서 만나고 다시 영애하(英愛河)가 성() 동남 6백 리(), 훈춘하(琿春河) 동쪽에 있는데 수원은 조리산(笊籬山)에서 나온다. 한편 마첨하(馬瞻河)가 성() 동남 450리에 있어 수원은 성() 남쪽 이름 없는 산에서 나오는데 이들 모두 남쪽으로 흐르다 도문강(圖們江)으로 들어간다.

欽定大清一統志 (四庫全書本)045 琿春河 在寕古塔城東南六百里 源出通肯山 㑹諸水 西南流 入圖們江 金史世紀 有琿春水與統門水合流 即此 又勒塔河在城東南四百十三里 源出笊籬山 諳達河在城東南六百二十里 源出烏爾琿山 俱西流 㑹琿春河 又英愛河在城東南六百里 琿春河東 源出笊籬山 又馬瞻河在城東南四百五十里 源出城南無名山 俱南流 入圖們江

훈춘(琿春) : 영고탑(寧古塔) 동남에 있다. 혼창(渾敞)이라고도 쓴다. 琿春 〈今寧古塔東南 卷三十三 作渾敞

훈춘(琿春) : 지금 영고탑(寧古塔) 동남에 있다. 혼준(渾蠢)이라고도 쓰니 물 이름이다. 琿春 〈今寧古塔東南 卷一作渾蠢 水名

통긍(通肯) : ()’을 뜻한다. 동간(同幹)이라고도 쓴다. 通肯 〈鼔也卷一作同幹

암달(諳達) : 만주어이니 군사 열 명이 모여 밥을 짓어 먹는 동아리(夥伴)’를 뜻한다. 안답(宴答)이라고도 쓰니 산 이름이다. 諳達 〈滿洲語 夥伴也 卷七十三 作宴答 山名諳達滿洲語 夥伴也 原作俺答 今改正

암달(諳達) : 만주어이니 화반(伙伴)’을 뜻한다. 엄답(俺答)이라고도 쓴다. 諳達滿洲語 伙伴也 原作俺答 今改正

과반(夥伴) : 북위(北魏) 시대에 군인들 10명 단위로 함께 밥을 지어 먹어서 화반(火伴)이라 하였고 이 말이 번져서 동반(同伴)이 되었다. 또한 화반(伙伴)이라고도 쓴다. 동아리에 참여하거나 어떤 활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암달(諳達)은 몽고어이니 안답(按答), 안달(按達), 암답(唵答)이라고도 쓴다. 諳達 〈夥伴也 卷一 作按答 卷一百二十一 作按達 並改諳達蒙古語 夥伴也舊作唵答

암달포합(諳達布哈) : 암달(諳達)군사 10명이 함께 밥을 지어 먹는 동아리(夥伴)’를 뜻한다. 포합(布哈)황소(牤牛)’를 뜻한다. 안체불화(按替不花), 안특불화(案忒不花), 안제불화(按梯不花)라고도 쓴다. 諳達布哈 〈諳達 夥伴也 布哈 牤牛也 卷二十一 作按替不花 卷二十八 作案忒不花 又作按梯不花 並改

암달목이(諳達穆爾) : 암달(諳達)과반(夥伴)’을 뜻한다. 목이(穆爾)발자취(蹤跡)’를 뜻한다. 안탑목아((按塔木兒), 안답목아(按答木兒)라고도 쓴다. 諳達穆〉 〈諳達 夥伴也 穆爾 蹤跡也 卷二十六 作按塔木兒 卷三十九 作按答木兒 並改

오이혼(烏爾琿) : ‘한 손가락(一指)’ 또는 손가락 반 마디(半寸)’를 뜻한다. 烏爾琿國語 一指也 又半寸也

16. 화라갈수(和囉噶水) (출처 : 성경통지 28)

원사지리지(元史地理志)에 화라갈 만호부(和囉噶萬户府)에 화라갈강(和囉噶江)이 있는데 흘러 혼동강(混同江)에 병합된다고 나온다. 명일통지(明一統志)에 화라갈강(和囉噶江)은 수원이 건주(建州) 동남쪽 산 아래에서 나와 동북으로 돌아()가 경박(鏡泊)이 된다. 다시 북쪽으로 가서 혼동강(混同江)으로 들어간다. 톺아보면 화라갈(和囉噶)은 곧 지금에 영고탑(寧古塔) 오소리강(烏蘇哩江 : 우수리강)이고 경박(鏡泊)은 곧 지금에 흥개호(興凱湖)이다. 옛 지리지(舊志) 되는대로 주어 삼켜 지금 필이등호(畢爾騰湖)를 경박(鏡泊)이라 하고, 드디어 지금에 호이합하(瑚爾哈河)를 화라갈강(和囉噶江)이라 하였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미 길림산천권(吉林山川卷) 안에서 그 잘못을 꼼꼼하게 가름하였다. 화라갈(和囉噶)은 원래 호리개(呼里改)라 썼지만, 지금 가려내어 고쳤다.

欽定盛京通志 卷二十八  和囉噶水元史地理志 和囉噶萬户府有和囉噶江 流并混同江 明一統志 和囉噶江源出建州東南山下 東北滙為鏡泊 又北入混同江 按和囉噶即 今寧古塔 烏蘇哩江 鏡泊 即今之興凱湖 舊志漫以今畢爾騰湖為鏡泊 遂以今瑚爾哈河為和囉噶江 已於吉林山川卷内詳辨其誤 和囉噶原作呼里改 今譯改

1) 화라갈(和囉噶) : 몽고어이니 뜨락, 관청()’를 뜻한다. 화로간(和魯斡)이라고도 쓴다. 和囉噶 〈䝉古語 院也 卷二十 作和魯斡

2) 화라갈(和囉噶)은 화렬갈(和烈葛), 화라한(火羅罕)이라고도 쓴다. 和囉噶 〈蒙古語 院也 卷二十五 作和烈葛和囉噶 〈院也 卷一百 作火羅罕

3) 화라갈도(和囉噶圖) : 몽고어이니 뜨락이 있다를 말하는 것이다.(有院落之謂) 화로홀토(和魯忽土)라고도 하니 땅 이름이다. 和囉噶圖 〈䝉古語 有院落之謂 卷十四 作和魯忽土 地名

4) 화라갈도(和囉噶圖) : 화라갈(和囉噶)마당()’을 뜻한다. ()가지다()’를 뜻한다. 화아합독(火兒哈禿), 회로합도(懐魯哈都)라 쓰기도 한다. 和囉噶圖 〈和囉噶 院也 圖有也 卷一百二十八 作火兒哈禿 卷一百三十二 作懐魯哈都 並改

5) 화라갈제(和囉噶齊) : ‘관청 사람(管院人)’을 뜻한다. 홀리합적(忽裏哈赤)이라고도 쓴다. 和囉噶齊 〈管院人也 卷一百 作忽裏哈赤

6) 필이등(畢爾騰) : ‘물이 얕다(水淀)’를 뜻한다. 畢爾騰國語水淀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