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소빈(蘇濱), 솔빈(率賓)은 고구려 졸본(卒本)이다
1) 솔빈부(率賓府)는 고구려 졸본(卒本)이다 (출처 : 발해국기)
솔빈부(率賓府)는 솔빈 옛땅(率賓故地)이니 신서(新書) 발해전(渤海傳)에 “솔빈(率賓)은 옛날에 들어본 적이 없는 이름이니 아마도 졸본(卒本)을 가리켜서 말한 것이다. 졸본(卒本)이란 한(漢)나라 원제(元帝) 때 고려왕(高麗王) 주몽(朱蒙)의 옛 도읍지이다. 본디 고구려(高句麗)에 속했다가 발해(渤海)가 솔빈부(率賓府)를 세웠고 그 뒤에 요(遼)나라가 이를 따랐고 금(金)나라가 휼품로(恤品路 쉬핀 xùpǐn로)라 하고 또한 속빈로(速頻路)라고도 일컬었다. 이 땅은 한(漢) 현토군(玄菟郡) 변경에 있으니 지금 압록강(鴨淥江) 북쪽 동가강(佟佳江) 유역이다.” 하였다.
○ 《신서(新書) 발해전(渤海傳)》이란 어느 책을 말하는지 모르겠다.
○ 동가강(佟佳江) : 동가강은 지금에 혼강(渾江)으로 대충강(大蟲江), 동가강(同嘉江), 동가강(佟家江), 통길아강(通吉雅江)이라는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수원은 백두산(長白山) 남쪽 분수령(分水嶺)에서 나오니 길림성성(吉林省城) 남쪽에 있다고 한다.
渤海國記 : 率賓府率賓故地 新書渤海傳 率賓舊未聞 疑指卒本言之 卒本者 漢元帝時 高麗王朱蒙舊都也 本屬高句麗 渤海建率賓府 其後遼因之 金為恤品路 亦稱速頻路 地在漢玄菟郡邊境 今鴨淥江北 佟佳江流域
2) 소빈(蘇濱)과 휼품(恤品)은 솔빈(率賓)의 잘못된 표기(출처:만주원류고 15권)
살펴보면 솔빈((率賓)은 본디 발해(渤海)의 부(府) 이름이다. 금(金)나라 때는 솔빈로(率賓路)라 하였는데 잘못하여 소빈(蘇濱)이라 적었고 또한 휼품(恤品 : 쉬핀 xùpǐn)이라고도 하였으니 모두 물(水)로 인해 이름을 얻었지만, 그 실제는 하나이다. 명지(明志)에서 건주(建州) 동남에 있다 일컬었는데 성경통지(盛京通志)를 살펴보면 이런 하천 이름은 없다. 오직 개원(開原) 동남 1백9십 리(里)에 석빈하(碩賓河)가 있으니 솔빈하(率賓河)와 소리가 사실상 서로 가까우니 아마도 명나라 사람들이 적빈(碩賓)이 곧 휼품(恤品)인 것을 알지 못하고서 먼 곳에 있다고 잘못 전한 것 뿐이다. 솔빈부(率賓府)는 솔빈로(率賓路)이니 자세한 것은 강역문(疆域門)에 보인다.
欽定滿洲源流考 (四庫全書本)/卷15 : 按率賓本渤海府名 金為率賓路 誤作蘇濱 亦作恤品 皆因水得名 其實一也 明志 稱在建州東南 考盛京通志 無此河名 惟開原東南一百九十里有碩賓河 與率賓河音實相近 疑明人不知碩賓之即為恤品 而誤傳在遠地耳 率賓府 率賓路詳見疆域門
3)휼품로(恤品路) (출처 : 동북여지석략 2권)
휼품로(恤品路)는 요(遼)나라 때 솔빈부(率賓府)이니 서북쪽은 상경(上京 : 지금에 하얼빈 남쪽)과 거리가 1천 5백 70리이고 동북은 호리개(胡里改: 호리개강은 지금에 무단강(牡丹江))와 거리가 1천 1백이고 서남은 합라(合懶 : 해란)와 거리가 1천 2백이고 북쪽으로 변경인 한가아련천호(幹可阿憐千戶)와 거리가 2천 리(里)이다. 나 방창(方昶)이 살펴보건대 휼품(恤品)은 곧 지금 수분(綏芬)이고 휼품(恤品)은 곧 솔빈(率賓)이라는 소리가 바뀐 것이다. 수분(綏芬) 또한 휼품(恤品)이라는 소리가 바뀐 것이다. 〈 명통지(明統志)에 솔빈하(率賓河)는 건주(建州) 동남에 있고 아래로 흐르다 바다로 들어간다. 내가 톺아본바 곧 지금 수분하(綏芬河)는 만주원류고(滿洲源流考)에서 말한 ‘개원(開原) 동남에 석빈하(碩賓河)가 있는데 아마도 명나라 사람이 석빈(碩賓)이 곧 휼품(恤品)인 것을 알지 못하고서 먼 땅에 있다고 잘못되게 전하였다’ 함이 이것이다. 그렇다면 잘못되지 않은 것을 ‘잘못되었다’라고 여겼으니 유독 ‘톺아봄’을 놓친 것이 심하다.〉
휼품로(恤品路)는 백성(白城) 동남에 있기에 “서북으로 상경(上京) 1천 5백 70리에 이른다.” 하였다. 그리고 호리개로(胡里改路)의 서쪽 경계에 있으니 지금에 호리객하(瑚爾喀河 곧 호리개강)로부터 일어나서 동북쪽 경계로 뻗어 오소리강(烏蘇里江: 우수리강)에서 그치니 바로 그 동북쪽에 있는 것이다. 그래서 “동북으로 호리개(胡里改)까지 1천 1백 리(里)에 이른다.” 하였다. 합라(合懶)는 곧 지금 해란(海蘭)으로, 휼품로는 그 서남에 있다. 그래서 ‘서남은 합란(合嬾)까지 1천 2백 리에 이른다.” 하였다. 오직 북쪽 경계 간가아린(幹可阿憐)만은 그곳이 어딘지 알아볼 수가 없다. 아린(阿鄰)은 ‘산(山)’을 뜻하고 간가(幹可)라는 이름은 지금 책에서 가져올 만한 증거가 없다. 휼품(恤品)은 역사책에서 또한 속빈(速頻)이니, 금나라 임금 해릉(海陵)이 속빈절도사(速頻節度使)를 두었고 세종(世宗)이 ‘야라(耶懶)와 속빈(速頻)이 서로 거리가 천 리이기 때문이다’ 한 것이 이것이다.
東北輿地釋略/卷2 恤品路 恤品路 遼時 為率賓府 西北至上京一千五百七十里 東北至胡里改一千一百 西南至合懶一千二百 北至邊界幹可阿憐千戶二千里 方昶按恤品 即今綏芬 恤品 即率賓之音轉 綏芬 又恤品之音轉也 〈明統志 率賓河在建州東南 下流入海 方昶按即今綏芬河 滿洲源流考謂 開原東南有碩賓河 疑明人不知碩賓即為恤品 誤傳在遠地 是 則以不誤為誤 殊為失考之甚〉 在白城東南 故曰西北至上京一千五百七十 胡里改路其西境 自今瑚爾喀河起 東北境至烏蘇里江止 正在其東北 故曰東北至胡里改一千一百里 合懶 即今海蘭 在其西南 故曰西南至合嬾一千二百 惟北境幹可阿憐無可考 阿鄰者 山也 幹可之名 今圖 無可取證 恤品 史又作速頻 海陵置速頻節度使 世宗以耶懶速頻相去千里 是也
4) 원나라 때 없앤 솔빈로(廢率璸路) 행정구역에 대한 설명(출처 : 대청일통지 46권)
없앤 솔빈로(率璸路)는 성(城) 동남에 있다. 금사지리지(金史地理志)에 ‘솔빈로(率璸路)는 요(遼)나라 때 솔빈부(率賓府)였으니 본디 솔빈 옛땅(率賓故地)이다. 천회(天㑹) 2년(1124년 또는 958년)에 해란로(海蘭路) 도패륵(都貝勒)이 살던 땅이 척박하여 솔빈(率賓)으로 옮겼고 색령(索寧)이라 이름하였다. 그리고 뿌리를 잊어서는 안 된다는 뜻에서 해란(海蘭)을 아란명안(雅蘭明安)이라 하였다. 서북쪽에 상경(上京)까지 1천 5백 70리요 동북으로 화라갈(和囉噶)까지 1천 1백 리이며 서남쪽으로 해란로까지 1천 2백 리이며 북쪽으로 변경인 간한아림(斡罕阿林) 천호(千户)까지 2천리이다. 솔빈(率璸)은 휼품(恤品)이라고도 쓰고 색영(索寧)은 속빈(速頻)이라고도 썼다. 해란(海蘭)은 합라(合懶) 또는 야라(耶懶), 압라(押懶)라고도 썼다. 패륵(貝勒)은 패동(孛董)이라고도 쓴다. 간한아림(斡罕阿林)은 간가아린(斡可阿憐)이라고도 쓴다.
5) 소백(蘇伯) : ‘힘줄, 근육(筋)’을 뜻한다. 소빈(蘇濱)이라고도 하니 땅이름이다. 蘇伯 〈筋也卷一 作蘇濱 地名〉
6) 솔빈(率賓) : 본디 솔빈 옛땅(率賔故地 : 물길, 곧 말갈의 옛땅)이다. 속빈(速頻), 휼품(恤品 : 쉬핀 xùpǐn)이라고도 하니 지역 이름이다. 率賓 〈本率賔故地 卷六 作速頻 卷十四 作恤品 並改 路名〉
7) 솔빈부(率賓府) 영역 (출처 : 만주원류고 10권)
신당서(新唐書)에 ‘솔빈 옛땅(率賓故地)을 솔빈부(率賓府)라 하고 화주(華州), 익주(益州), 건주(建州) 세 주(州)를 거느리게 하였다’ 한다. 〈살펴보면 화주(華州)는 톺아볼 만한 자료가 없으나 이치상 곽땅(郭地)에 붙어있다.〉
요사(遼史)에 ‘동경(東京) 솔빈부 자사(率賓府刺史)는 옛 솔빈국(率賓國) 땅이다.’ 하였다. 〈살펴보며 요(遼)나라 때 솔빈부(率賓府)는 지/색주(洓州)와 정리부(定理府) 사이에 있으니 응당 곧 발해(渤海)의 옛 치소(舊治)이다.〉
요사(遼史)에 ‘동경(東京) 강주(康州) 솔빈현(率賓縣)은 본디 발해(渤海)의 솔빈부(率賓府) 땅이다. 〈살펴보면 강주(康州)는 현주(顯州)에 소속되었고 발해(渤海) 나라에서는 현덕부(顯徳府) 이었으니 이 땅은 마땅히 솔빈(率賓)의 백성(民户)들을 옮겨서 설치한 곳에 관계되는 것이지 옛땅(故地)이 아닌 것이다.〉
금사(金史)에 ‘상경(上京) 솔빈로(率賓路) 〈옛날 휼품(恤品)이라 잘못하여 지금 고쳐 바로 잡는다〉는 요(遼) 나라 때 솔빈부(率賓府)라 하고 자사(刺史)를 두었으니 본디 솔빈 옛땅(率賓故地)이다. 서북쪽으로 상경(上京)까지 1천 5백 70리이고 동북쪽으로 호이합(呼爾哈)〈옛날에 호리개(胡里改)라고 썼으니 지금 고친다.〉까지 1천 1백 리이며 서남쪽으로 해란(海蘭)〈옛날에 갈라(曷懶)라고 썼으니 지금 고친다.〉까지 1천 2백 리이고 북쪽으로 변방인 위이극아림(威伊克阿林) 〈옛날에 간가아련(斡可阿憐)이라 썼으니 지금 고친다.〉까지 2천 리이다.〈살펴보면 휼품(恤品)은 곧 솔빈(率賓)의 잘못된 말이다.’라 하였다. 금사(金史)에도 속빈(速頻)이라 썼으니 소리가 실제로 서로 같아서이다. 금사(金史)에서 나온 거리로 계산해 본다면 솔빈 옛부(率賓故府)는 응당 지금 악다리성(鄂多理城) 남쪽에 있고 위이극아림(威伊克阿林)은 지금 성경(盛京 : 심양시) 끝 동북쪽 대산(大山)이다. 산 위에는 나무니 풀들이 없고 오직 푸른 이끼만이 살아나고 러시아(俄羅斯)와 경계 진 가장자리이다. 또한 명지(明志)에 ‘건주위(建州衛) 동남에 솔빈하(率賓河)가 있다. 솔빈로(率賓路) 이름이 이 때문이다.’ 하였다.〉
익주(益州) : 요사(遼史)를 보면 동경(東京 수도 외에 제2 도시) 익주 관찰(益州觀察)은 황룡부(黄龍府)에 속하였다.
거란국지(契丹國志)에 송(宋) 정화(政和) 5년(1115년) 금(金) 태조(太祖)가 요(遼)를 공격하여 빈(賓), 상(祥), 위(威) 세 주(州)를 취하고 진군하여 익주(益州)에 다다랐다는 내용이 나온다. 〈살펴보면 압록강(鴨緑江)은 일명 익주강(益州江)이라 하니 그렇다면 익주(益州)는 실제 압록강(鴨緑江)과 가깝고 마땅히 장백산(백두산) 서남쪽에 있다. 요(遼)가 익주를 바꾸어 황룡부(黄龍府)에 소속시켰는데 요사(遼史)에서는 말하지 않았지만, 발해(渤海)의 옛것(행정구역)을 그대로 하고 더러 그 이름까지 따랐으니 굳이 그 ‘옛 땅’이라는 말을 들먹거릴 필요는 없는 것이다.〉
건주(建州) : 원일통지(元一統志)에서 ‘금(金) 상경(上京) 남쪽은 건주(建州)이다’라고 하였다. 명 실록(明實録)을 보면 영락(永樂) 2년(1404년) 건주위(建州衛)를 설치하였다. 〈살펴보면 우리 조정(청나라)이 처음 흥기한 땅이 곧 발해(渤海) 나라에 건주(建州)라는 옛땅이다. 요(遼), 금(金), 원(元)나라 모두 건주(建州)를 두었고 아울러 지금 객라심(喀喇沁)과 토묵특(土黙特) 영역에 있었다. 그러나 요(遼) 시대에 사람들을 이주시키는 바람에 발해의 옛것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앞 부족문(部族門)에 보인다.〉
欽定滿洲源流考 (四庫全書本)/卷10 率賓府 新唐書率賓故地為率賓府領華益建三州〈按華州無可考 當為附郭地〉 遼史 東京率賓府刺史 故率賓國地 〈按遼率賓府在洓州定理府之間 當即渤海舊治〉 遼史 東京康州率賓縣 本渤海率賓府地 〈按康州屬顯州 在渤海為顯徳府 地當係遷率賓民户所置 非故地也〉 金史上京率賓〈舊訛恤品 今改正〉路 遼時 為率賓府 置刺史 本率賓故地 西北至上京一千五百七十里 東北至呼爾哈〈舊作胡里改今改〉一千一百里 西南至海蘭〈舊作曷懶 今改〉一千二百里 北至邊界威伊克阿林〈舊作斡可阿憐 今改〉二千里 〈按恤品 即率賓之訛 金史 亦作速頻 音實相同也 以金史道里計之 則率賓故府當在今鄂多理城之南 威伊克阿林 今盛京極東北大山也 上無樹木 惟生青苔 與俄羅斯邊界 又明志 建州衛東南有率賓河 率賓路之名以此〉
益州 遼史 東京益州觀察屬黄龍府 契丹國志 宋政和五年 金太祖攻遼 取賓祥威三州 進薄益州 〈按鴨緑江 一名益州江 則益州實與鴨緑江近 當在長白山西南 遼改屬黄龍府 遼史不言 仍渤海之舊 或因其名而不必即其故地也〉
建州 元一統志 金上京之南曰建州 明實録 永樂二年置建州衛 〈按我朝肇興之地 即渤海建州之故壤也 遼金元皆有建州 並在今喀喇沁及土黙特境 為遼時所移 非渤海之舊 詳見前部族門〉
8) 솔빈부 북쪽 경계에 있는 간가아련(幹可阿憐) 또는 간한아림(斡罕阿林), 간가아린(斡可阿憐)
①간한아림(斡罕阿林) : 간한(斡罕)은 ‘말굽(馬蹄)’을 뜻한다. 아림(阿林)은 ‘산(山)’을 뜻한다. 간가아련(斡可阿憐)이라고도 쓰니 땅 이름이다. 斡罕阿林 斡罕馬蹄也阿林山也卷二十四作斡可阿憐地名
②간가(斡可)는 오격(烏格)이다. ‘말씀(言)’을 뜻한다. 왜가(歪哥), 간가(斡可)라고도 쓴다. 烏格 言也 卷四十四 作歪哥 卷一百十九 作斡可 併改
③악극심(鄂克沁) : 만주어이니 ‘모든 물건의 뚜껑(凡物之葢)’를 뜻한다. 간가진(斡可真), 간가진(斡可珍)이라고도 쓰니 사람 이름으로, 같은 사람에 달린 이름이다. 鄂克沁 滿洲語 凡物之葢也 卷一百九 作斡可真 卷一百十八 作斡可珍 係一人 併改
'여진(女真) 말갈(靺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나라 건국의 주역 완안부 주변 7 (0) | 2023.10.16 |
---|---|
○금나라 건국의 주역 완안부 주변 6 (1) | 2023.10.12 |
○금나라 건국의 주역 완안부 주변 4 (1) | 2023.10.05 |
○금나라 건국의 주역 완안부 주변 3 (0) | 2023.10.02 |
○금나라 건국의 주역 완안부 주변 2 (0) | 202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