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숙신(肅愼)

산해경에 나타난 서방 나라 숙신(肅愼)과 그 이웃 백민(白民)

by 쥐눈이 2024. 6. 20.

*산해경에서 불함산 북쪽에 있는 숙신(肅愼) 외에 서방 쪽에 숙신에 대한 이야기도 나와 있다. 숙신으로 추정되는 서역의 속진국(𠐍侲國), 그리고 속진국의 다른 이름인 엄채(奄蔡)에 대한 이론이 전혀 근거 없는 것은 아니다.

1. 산해경(山海經) 해외서경(海外西經) :

해외(海外)에 서남 구석에서부터 서북 구석에 이르는 곳이다.

숙신국(肅慎國)은 백민(白民) 북쪽에 있다. 나무가 있으니 이름이 낙당(雒棠)인데 성인(聖人)이 임금의 자리에 이어 서면 이 나무의 껍질로 옷을 해 입을 수 있다.

山海經/海外西經 : 海外自西南陬至西北陬者

肅慎之國在白民北有樹名曰雒棠聖人代立于此取衣

 

2. 산해경(山海經) 7:

백민(白民)의 나라는 용어(龍魚) 북쪽에 있다. 몸이 희고 머리카락을 풀고 산다. 그 사람들 몸이 훤히 희다.그곳에 승황(乘黄)이 있으니 그 꼴이 여우()와 같고 그 등() 위에는 뿔이 있다. ()의 수명은 2천 살이다. 주서(周書)에서 백민(白民)의 승황(乘黄)은 여우와 비슷하고 등 위에 뿔 둘이 달려있으니 곧 비황(飛黄)이다.” 하였다. 회남자(淮南子)세상에 도()가 있게 되면 비황(飛黄)이 구유()에 엎드려 먹이를 먹는다.” 하였다.〉   

숙신(肅慎) 나라는 백민(白民) 북쪽에 있고 그 나라에 나무가 있으니 이름이 웅상(雄常, 또는 웅당())’이다. 어떤 책은 락()으로 적어놓았다.숙신 사람들은 성제(聖帝)가 공훈()을 이룬다는 소식을 먼저 입수하니 이 나무에서 거죽이 생겨서 이를 가져다 옷을 만들어 입는다. 그 풍속에 차려입는 옷가지는 없지만, 중원 땅(中國)에 성제(聖帝)가 직위를 잇는 경우가 있으면 이 나무에 거죽이 생겨나서 옷을 해 입을 수가 있는 것이다.

山海經 (四部叢刊本)/卷第七 白民之國在龍魚北白身被髪言其人體洞白有乘黄其狀 如狐其背上有角乘之壽二千歳周書曰白民乘黄似狐背上有兩角即飛黄也淮南子曰天下有道飛黄伏皂肅慎之國在白民北有𣗳名曰雄或作雒常先入伐帝於此取之其俗無衣服中國有聖帝代立者則此木生皮可衣也

 

3. 산해경광주(山海經廣注) 7: 해외서경(海外西經)  

해외(海外)에 서남쪽 구석에서부터 서북쪽 구석까지이다.

백민(白民) 나라는 어룡(龍魚) 북쪽에 있다.

나 임신(任臣)이 살피건대 여씨춘추(呂氏春秋) ()백민(白民) 나라는 해외(海外) 남쪽 끝에 있다.” 하였다. 회남자(淮南子)서북쪽에서 서남쪽에 이르면 백민(白民)이 있다.” 하였다. ()에서 말하기를 백민(白民)은 몸이 희다.” 하였다. 천보군록(天寳軍錄)에서 일남구산(日南廐山)이 연달아 이어져 그 몇천 리인지 모르는데, 나인(裸人)이 사는 곳이니 백민(白民)의 후손이다. 그 가슴 앞을 바늘로 찔러 꽃무늬를 만드니 이를 아름다운 꾸밈으로 여긴다.” 하였다. 노사(路史)에서는 백민(白民)의 신령한 짐승 약수(藥獸, 사람의 병증을 듣고서 알맞은 풀을 찾아내는 신령한 짐승)에 대해 황제 사당 현판 풀이(黄帝祠額解)에서 “(황제가) 백민(白民)의 약수(藥獸)를 스승 삼아서 치료하는 법()을 알았다.”라고 말하였다 하고 있다. 유봉잡저(劉鳳雜爼)에서 적경 백민(赤頸白民)이라 함은 이를 말하는 것이다.” 하였다. 또 대황동경(大荒東經)에서도 백민국(白民國)’이 나오는데 그 길에 거리를 따져보면 아마도 두 나라이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 운남통지(雲南通志)에서 백반왕(白飯王)의 후예인 인과(仁果)가 백애(白崖)에서 살아 백인국(白人國)이 되었다.” 하니 역시 이 백민이 아니다.

몸이 희고 머리카락을 풀고 산다.

()그 사람들의 몸이 훤하게 흼을 말하는 것이다.” 하였다. 나 임신(任臣)이 살펴보니 상인록(湘烟錄)에서 백씨국(白氏國)은 사람들이 희어서 마치 옥()과 같다. 그 나라 안에 오곡(五穀)이 없고 오직 옥()을 뿌려 이를 먹는다.” 하였으니 아마도 바로 백민(白民)인 듯하다.

승황(乗黄)이 있으니 그 꼴이 여우와 같고 그 등 위에 뿔이 나 있으며 승()의 수명은 2천 살이다.

()이 말하기를 주서(周書)백민(白民)에 승황(乗黄)은 여우와 비슷하고 등 위에 뿔 둘이 나 있다.’ 하였으니 이 신령한 짐승이 바로 비황(飛黄)이다.” 하였다. 회남자(淮南子)에서 세상에 도()가 있으면 비황(飛黄)이 구유에 엎드려 먹이를 먹는다.” 하였다. 내가 살펴보니 박물지(博物志)에서 백민국(白民國)에 승황(乗黄)이 있으니 승()의 천수(天壽)3천 살이다.” 하였고 계서록(稽瑞錄)에서 성왕(成王) 때 백민(白民)이 승황(乗黄)을 바쳤다.” 하니 유씨억견(游氏臆見)에서 승황(乗黄)은 일명 자황(訾黄)이다. 용과 같은 날개에 말과 같은 몸을 지녔다. 황제(黄帝)가 이를 타고 신선이 되었으니 한()나라 무제(武帝)가 이를 얻고자 하였다.” 하였다. 한나라 때 교사가(郊祀歌)에서는 자황(訾黄)은 어찌하여 내려오지 않는가?” 하였다. 문선 자백마부(文選赭白馬賦)에서 황제(黄帝)가 지위에 오르자 비황(飛黄)이 구유에 엎드렸다.” 하였고 철경록(輟耕錄)에서는 헌원(軒轅)이 비황(飛黄)을 얻었는데 홀로 뿔이 드높이 빼어났다.” 하니 회남(淮南)에서 주()를 내어 말하기를 비황(飛黄)은 서방(西方)에서 나온다. 그 꼴은 여우와 닮았고 등 위에 뿔이 있으며 수()의 수명은 3천 살이다.” 하였다. 송부서지(宋符瑞志)()임금 때 땅에서 승황(乗黄)이라는 말이 나왔다.” 하였다. 이장길(李長吉)의 시에 잠시 등황마(騰黄馬)를 메어놓네하니 오정자(呉正子)가 주()에서 등황(騰黄)은 신황(神黄)이다. 어떤 때는 승황(乗黄), 비황(飛黄)이라 하고 더러는 고황(古黄), 취황(翠黄)이라고도 쓴다. 그 꼴은 여우와 닮았고 등에 뿔 둘이 달렸다. ()의 수명은 일천 살이다.” 하였다. 포박자(抱朴子)가 등황(騰黄)이라는 말과 길광(吉光)이라는 짐승은 모두 수명이 3천 살이다.” 하였으니 바로 이 짐승이다. 도찬(圖贊)비황(飛黄)은 기이한 준마라 승(, 탈 것) 가운데에 잘 늙지 않는다. 뿔을 끌고서 가벼이 날고는 갑자기 용처럼 높이 난다. 참으로 세상을 살펴보다가 덕()이 있게 되면 보로 그 구유에 모인다.” 하였다.

숙신(肅愼)의 나라는 백민(白民)의 북쪽에 있다.

나 임신(任臣)이 살피건대 회남자(淮南子)해외(海外) 36국에 숙신(肅愼) 백성이 있다.” 하였다.

숙신 나라에 나무가 있으니 웅상(雄常)’이라 이름한다. ()더러는 ()’이라고도 쓴다,” 하였다.

성제(聖帝)가 자리에 오른다는 소식이 먼저 이르니 이 나무 거죽이 생겨서 이것을 가져다 옷을 해 입는다.

()그 풍속에 옷가지가 없는데 중원(中國)에 성제(聖帝)가 지위를 이어 자리에 오르면 이 나무에서 거죽이 생겨나 옷을 해 입을 수가 있었다. 나 임신(任臣)이 알아보니 이물휘원(異物彚苑)에서 낙상(雒常) 나무는 껍질이 없는데 숙신(肅愼) 나라에서 난다. 성스러운 사람이 지위에 있게 되면 나무에서 거죽이 생겨 옷을 만들어 입을 수 있다. 그 나라는 동조(東朝)이니 나라 안 중원(中國)은 성왕(成王) 때 한 번, 이 거죽이 생겼다.” 하였다. 진서 열전((晉書列傳)숙신(肅愼)에 나무가 있으니 낙상(雒常)이라 이름한다. 만약 나라 안에 성제(聖帝)가 있어 자리를 이으면 그 나무에서 거죽이 생겨 옷을 만들어 입을 수 있다. () 무왕(武王)과 성왕(成王) 때 사신을 보내어 공물을 들였다.” 하였다. 사물감주(事物紺珠)에서 낙상(雒常)은 숙신(肅愼)에서 난다.” 하였다. 담회(談薈)에서 읍루국(挹婁國)에 낙상수(雒常樹)는 그 거죽으로 옷을 해 입을 수 있다.” 하였다. 고야왕(顧野王)이 진옥편계(進玉篇啟)에서 옷감이 낙수(雒樹)에서 나오니 그렇다면 숙신(肅愼)은 천명을 받은 흥성을 알아챘고 바닷물이 파고가 고요해지니 월상(越裳)이 성인(聖人)의 덕을 깨닫는다.” 하였다. 병아(駢雅)낙상(雒常)의 거죽은 옷을 해 입을 만하고 길패(吉貝 : 목화와 목면) 꽃은 실을 자을 만하다.” 하였다. 계서록(稽瑞録)에서는 문호(房户)가 넓어져 숙신(肅愼)의 낙상(雒常)에 닿는다.” 하였다. 도찬(圖贊)에서 푸른 바탕에 붉은 꼬리이니 멸몽(滅䝉)이라 호칭한다. 대운산(大運山)1백 인(: 1인은 7, 8)이 세 번 더해진다(3백 인()). 웅상이라는 나무는 덕에 응답하여 통한다.” 하였다. 또 주모위(朱謀㙔)는 기이한 숲을 낙상수(雒裳樹)’라고 썼다.

山海經廣注 卷七 海外西經  海外自西南陬至西北陬者

白民之國在龍魚北任臣案呂氏春秋注白民之國在海外極南淮南子自西北至西南方有白民注云白民白身天寳軍錄云日南廐山連接不知幾千里裸人所居白民之後也刺其胷前作花以為美飾路史白民進藥獸黄帝祠額解云師白民藥獸而知醫劉鳳雜爼曰赤頸白民謂此也又大荒東經亦有白民國計其道里疑為二國又雲南通志云白飯王之後仁果居白崖為白人之國亦非此也白身被髪郭曰言其人體洞白 任臣案湘烟錄云白氏國人白如玉國中無五穀惟種玉食之疑即白民有乗黄其狀如狐其背上有角乗之壽二千歲郭曰周書曰白民乗黄似狐背上有两角即飛黄也淮南子曰天下有道飛黄伏皂任臣案博物志白民國有乗黄乗之壽三千歲稽瑞錄云成王時白民獻乗黄游氏臆見曰乗黄一名訾黄

  〈龍翼馬身黄帝乗之而仙漢武欲得之郊祀歌曰訾黄何不徠下文選赭白馬賦黄帝陟位飛黄伏皁輟耕錄云軒轅獲飛黄而獨角髙誘淮南注云飛黄出西方狀如狐背上有角乗之壽三千歲宋符瑞志舜時地出乗黄之馬李長吉詩暫繋騰黄馬呉正子注云騰黄神黄也一曰乗黄飛黄或作古黄翠黄狀如狐背有兩角乗之壽千歲抱朴子云騰黄之馬吉光之獸皆壽三千歲即斯獸也圖贊曰飛黄奇駿乗之難老揣角輕騰忽若龍矯實鑒有徳乃集厥皁

肅愼之國在白民北任臣案淮南子海外三十六國有肅愼民有樹名曰雄郭曰或作雒常先入代帝於此取之郭曰其俗無衣服中國有聖帝代立者則此木生皮可衣也 任臣案異物彚苑云雒常木無皮出肅愼之國聖人在位則木生皮可為衣其國東朝中國成王時一生晉書列傳云肅愼有樹名曰雒常若中國有聖帝代立則其木生皮可衣周武王及成王時遣使入貢事物紺珠云雒常出肅愼談薈云挹婁國雒常樹其皮可衣顧野王進玉篇啟取衣雒樹則肅愼識受命之興平波海水則越裳知聖人之徳駢雅曰雒常之皮可衣吉貝之花可績稽瑞録云房户濶達肅愼雒常圖贊曰青質赤尾號曰滅䝉大運之山百仞三重雄常之樹應徳而通又朱謀㙔異林作雒裳樹

 

4. 다여객화(茶餘客話) 15:

약수(藥獸)

신농 때 백민(白民)이 약수(藥獸)를 올린 일이 있었다. 이 약수(藥獸)는 사람이 병이 있으면 그 짐승을 어루만지면서 어떤 말을 주는데 병자의 말이 그치면 이 짐승은 남몰래 들 밖으로 가서 풀 하나를 입에 물고 돌아온다. 이 풀을 찧어 즙을 내서 마시면 바로 병이 나았다. 훗날 황제(黃帝)가 풍후(風后, 복희의 후예로 지남차(指南車)도 발명)에게 명하여 어떤 풀이 어떤 질병을 없애는()지 기록하게 하였으니 오래 있다가 치료 방법 같은 것들이 죄다 증험 되었다. 고전(古傳)에서 황제(黃帝)가 온갖 풀을 맛보았다.” 하였으니 사실이 아니다. 따라서 우경(虞卿)황제(黃帝)가 약수(藥獸)를 스승으로 삼아서 병 치료 방법()을 알았다.” 하였다.

茶餘客話/15 藥獸

神農時有白民進藥獸人有疾病則拊其獸授之語語已獸竊如野外銜一草歸搗汁服之即愈後黃帝命風后紀其何草起何疾久之如方悉驗古傳云黃帝嚐百草非也故虞卿曰黃帝師藥獸而知醫

 

5. 회남자(淮南子) 4:

무릇 해외(海外) 36()은 서북(西北)에서 서남(西南)에 이르니 수고민(修股民), 천민(天民), 숙신민(肅愼民),

()는 길다()이다. ()는 다리()이다. 천민(天民)과 숙신(肅愼)은 모두 나라를 둔 이름이다. ()에서 숙신(肅愼), (), ()은 우리의 북쪽 땅이다.” 하였는데 이 산해경에서는 서방(西方)의 숙신을 말하고 있으니 아마도 서방(西方)의 나라에 독자적으로 다시 숙신이 있었던 것이 아니겠는가! 어떤 사람들은 ()은 공경()이요 신()은 두려워하다()”라고 한다.

백민(白民), 옥민(沃民), 여자민(女子民), 장부민(丈夫民)이 있다. 백민(白民)은 흰 몸을 가지 사람들이니 머리카락을 풀고 다는데 머리카락 역시 하얗다. 여자민(女子民)은 그 몸에 난 털이 없어 모두 여자 같다. 장부민(丈夫民)은 그 모습이 모두 장부(丈夫)와 같고 누런 옷을 입고 관을 쓰며 검을 차고 있다. 이들 모두 서방의 나라이다.

淮南子 (四部叢刊本)/卷第四

凡海外三十六國自西北至西南方有修股民天民肅愼民脩長也股脚也天民肅愼皆有囯名也傳曰肅愼燕毫吾北土是云西方黨獨西方之囯自復有之邪一曰肅敬也愼畏也白民沃民女子民丈夫民白民白身民被髪髪亦白女子民其貌無有鬚皆如女子也丈夫民其狀皆如丈夫衣黃衣冠帶劒皆西方之囯也

 

6. 회남홍렬해(淮南鴻烈解) 4:

무릇 해외(海外) 36()은 서북에서부터 서남방(西南方)까지 수고민(脩股民), 천민(天民), 숙신민(肅慎民),

()는 길다()이다. ()는 다리()이다. 천민(天民)과 숙신(肅慎)은 모두 나라 이름이다. 어떤 사람은 ()은 공경()이요 신()은 두려워하다()이다.”라 하였다.

백민(白民), 옥민(沃民), 여자민(女子民), 장부민(丈夫民), 백민(白民)은 몸이 희고 머리카락을 풀고 사는데 역시 희다. 여자민(女子民)은 그 모습이 수염이 없어 모두 여자와 같다. 장부민(丈夫民)은 그 꼴이 모두 장부와 같고 누런 옷과 관을 쓰고 검을 차고 있다. 모두들 서방의 나라이다.

()고민(股民), 일비민(一臂民), 삼신민(三身民)이 있다.

()는 외짝()이다. ()는 다리()이다. 그 사람들이 팔이 하나, 손이 하나, 코가 하나라는 말이다. 삼신민(三身民)은 대개 머리가 하나에 몸이 셋 붙었다. 모두 서방의 나라이다.

서남(西南)에서 동남방(東南方)에까지 결흉민(結胷民), 우민(羽民), 환두국민(讙頭國民), 나국민(裸國民), 삼묘민(三苗民), 교고민(交股民), 불사민(不死民), 천흉민(穿胷民), 반설민(反舌民),

삼묘(三苗)는 나라 이름이니 예장의 팽려(豫章之彭蠡)에 있다. 교고민(交股民)은 다리가 서로 딱 엇갈려 있다. 불사민(不死民)은 음식을 먹지 않는다. 천흉(穿胷)은 가슴 앞에 구멍이 뚫려 등까지 통한다. 반설민(反舌民)은 말을 해도 알아들을 수 없지만, 그 스스로들은 서로 잘 알아먹는다. 일설에 혀뿌리가 입술 쪽으로 앞에 있고 목구멍 쪽에 있지 않아서 반설(反舌)”이라고 한다. 남방의 나라 이름이다.

시훼민(豕喙民), 착치민(鑿齒民), 삼두민(三頭民), 수비민(脩臂民)이 있다.

시훼민(豕喙民)은 그 부리가 돼지와 같다. 착치민(鑿齒民)은 이빨 하나를 뱉어내면 입 아래에서 나오니 길이가 3()이다. 삼두민(三頭民)은 몸에 머리가 셋이 있다. 수비민(脩臂民), 일국민(一國民)은 모두 팔이 기니 몸보다 팔이 길다. 모두 남방의 나라이다.

동남에서부터 동북방까지 대인국(大人國), 군자국(君子國),

동남(東南)은 땅이 기름진 검은 흙(壚土)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크다.

흑치민(黑齒民), 현고민(𤣥股民),

그 사람들이 검은 이빨이고 벼를 먹는다. 그 땅은 탕() 상곡(上谷)에 있다. 현고민(𤣥股民)은 다리가 검고 두 마리 새가 이 두 다리를 끼고 있다. 산해경(山海經)에 보인다.

모민(毛民), 노민(勞民)이 있다.

그 사람들 몸에 반쯤 털이 나 있는데 마치 화살촉과 같다. 노민(勞民)은 바른 이치를 가지고 있어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이리저리 다니며 안정하지 못한다. 모두 동방의 나라이다.

동북에서 서북방까지 지종민(跂踵民), 구영민(句嬰民),

지종민(跂踵民)은 발꿈치가 땅에 닿지 못하여서 다섯 발가락으로써 다닌다. 구영(句嬰)은 구영(九嬰)이라 읽는다. 북방의 나라이다.

심목민(深目民), 무장민(無腸民), 유리민(柔利民),

모두 북방의 나라이다.

일목민(一目民), 무계민(無繼民)이 있다.

일목민(一目民)은 눈이 얼굴 한 가운데에 있다. 무계민(無繼民)은 그 사람들이 대체로 후사가 없다. 북방의 나라이다.

낙당(雒棠), 무인(武人)은 서북의 구석에 있다.

모두 해가 들어가는 산의 이름이다.

망어(, ())는 그 남쪽에서 산다.

망어(硥魚)는 잉어와 같은 것이다. 어떤 신성한 사람이 타고 구야(九野)를 다니니 무계민(無繼民)의 남쪽에 있다.

어떤 신인(神人) (또는 열여섯 신())이 팔을 잇닿고 제(, 황제라고도 함)를 위해 시찰을 도는데 소리를 치며 밤에 다닌다. 그 서남방에 있다.

팔을 서로 잇닿고서 크게 소리치며 밤에 다닌다.

삼주수(三珠樹)는 그 동북방에 있다. 옥수(玉樹)가 있으니 적수(赤水) 위에 있다. 곤륜화구(崑崙華丘)는 그 동남방(東南方)에 있다.

무계민(無繼民)의 동남에 있다.

이에 유옥(遺玉), 청마(青馬), 시육(視肉) 그 땅 사람들은 말을 할 줄 모른다.이 있고 양도(楊桃), 감사(甘樝), 감화(甘華) 등 온갖 과일이 나는 곳이다. 모두 기이한 물건들이다. 나무에 달린 것을 ()’라 하고 땅에 있는 것을 (, ()과의 열매)’라고 한다.

화구(和丘)는 그 동북 구석에 있다. 사방이 높은 것을 ()라 한다. ()새가 스스로 노래하는 곳이고 봉()새가 스스로 춤을 추는 곳이라 화구(和丘)’라고 한다. 무계민(無繼民) 동북 구석에 있다.

가지가 없는 세 뽕나무(三桑無枝)가 그 서쪽에 있다.

과보탐이(夸父耽耳)는 그 북쪽에 있다. 탐이(耽耳)는 귀가 늘어져 어깨 위에 있다.

과보(夸父)가 그의 지팡이를 버렸는데 이 등림(鄧林)이 되었다. 과보(夸父)는 신수(神獸)이다. 황하()와 위수()를 마셔도 성에 차지 않아 장차 서해를 마시려 하였는데 서해에 이르기도 전에 길에서 목이 말라 죽었다. 산해경(山海經)을 보면 책()은 지팡이()이고 그 지팡이에서 나무가 생겨나더니 숲을 이루었다. ()은 오히려 나무()와 같다.

곤오구(昆吾丘)는 남방에 있다. 곤오(昆吾)는 초()나라 조상이자 축융(祝融)의 손자요 육종(陸終)의 아들로 하백(夏伯)이 된다.

헌원구(軒轅丘)는 서방에 있다. 헌원황제(軒轅黄帝)는 천하를 소유한 호칭이다.

무함(巫咸)은 그 북방에 있다. 무함(巫咸)은 천도(天道)을 알고 길흉에 밝다등보산(登保山)에 서면 양곡(暘谷)과 단상()이 동북에 있다. 양곡(暘谷)은 해가 나오는 곳이다. 단상(摶桑)은 등보산(登保山) 동북방에 있다.

유융(有娀)은 부주(不周)의 북쪽에 있다. 장녀(長女)는 간적(簡翟)이고 막내(少女)는 건자(建疵)이다. 유융(有娀)은 나라 이름이다. 부주(不周)는 산 이름이다. 간적(簡翟)과 건자(建疵) 자매 두 사람이 요대(瑤臺)에 있으니 제곡(帝嚳)의 비()이다. 하늘의 사신 제비(𤣥鳥)가 알을 내려놓으니 간적(簡翟)이 이를 삼켜서 설()을 낳았고 이 이가 현왕(𤣥王)이 되니 은()나라의 시조이다.

서왕모(西王母)가 유사(流沙) 가에 살고 있다. 지리지(地里志)에서 서왕(西王)의 돌집(石室)이 금성(金城) 임강(臨羌) 서북새(西北塞) 밖에 있다. * 지금 청해성(靑海省) 일대로 추정

악민나려(樂民拏閭)는 곤륜(崑崙)의 약수(弱水) ()에 있다. 물 안에 사람이 살만하여 ()’라고 한다.

삼위(三危)는 악민(樂民) 서쪽에 있다. 삼위(三危)는 서쪽 끝에 산 이름이다.

소명촉광(宵明燭光)은 하주(河洲)에 있는데 밝게 비추는 곳이 사방 천 리이다. ()는 물 가운데에 사람이 사는 곳이고 촉광(燭光)은 비추는 곳이 사방 천 리()이다.

용문(龍門)은 하연(河淵)에 있고 단지(湍池)는 곤륜(崑崙)에 있다. 용문(龍門)은 황하() 안에 있으니 풍익(馮翊)과 하양(夏陽)의 경계이다.

현요(𤣥燿)는 부주(不周)에 있다. 현요(𤣥燿)는 물 이름이다. 어떤 이는 산 이름이라 한다. *玄燿天光을 뜻함

신지(申池)는 해우(海隅)에 있다. 해우(海隅)는 늪()이다.

맹저(孟諸)는 패()에 있다. 맹저(孟諸)는 송택(宋澤)이다. 회양(睢陽) 동북에 있다.

소실(少室), 태실(太室)은 기주(冀州)에 있다. 소실(少室), 태실(太室)은 양성(陽城) 숭고(嵩髙, 숭산) 아래에 대한 별명이다. ()는 요()임금의 수도 기주(冀州)이다. ()는 천하(天下)에 대한 호칭이다.

촉룡(燭龍)은 안문(鴈門) 북쪽에 있다. 위우산(委羽山)에 이르면 해()를 보지 못한다. 그 신()은 사람 얼굴에 용의 몸을 하고 있되 발이 없다. ()는 이르다()이다. 위우(委羽)는 북방의 산 이름이다. 어떤 이는 용이 등()을 머금어서 태음(太隂)을 비추니 대개 그 비추는 길이가 천 리이다. 촉룡이 눈을 뜨고 보면 세상은 대낮이 되고 눈을 감으면 밤이 되며 숨을 불면 겨울이 되고 숨을 내쉬면 여름이 된다.” 하였다.

후직롱(后稷壠)은 건목(建木) 서쪽에 있다. 건목(建木)은 도광(都廣)에 있다. 도광(都廣)은 남방의 못() 이름이다.이곳 사람들은 죽으면 다시 소생한다. 그 다시 소생한 사람들 반은 물고기로 태어난다. 이곳은 그 사이에 있다. 남방 사람은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데 더러는 물고기로 환생하니 도광(都廣)과 건목(建木) 사이에 있다.

유황옥민(流黄沃民)은 북방 삼백 리()에 있다. 구국(狗國)은 그 동쪽에 있다. 뇌택(雷澤)에 신()이 있으니 용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하고 있다. 그 배를 두드리며 논다. 뇌택(雷澤)은 대택(大澤)이다. ()는 치다()이다. ()는 놀다()이다. 지리지(地理志)우공(禹貢)에 뇌택(雷澤)은 제음(濟隂, 濟水의 남쪽) 성양(城陽) 서북에 있다. 성양(城陽)에 요()임금 무덤이 있다.” 하였다.

(, 장강)이 민산(岷山) 동쪽에서 나와 흐르다 한수(漢水, 장강의 가장 큰 지류, 섬서성에서 나와 호북 우한에 이르러 장강으로 들어간다)를 가로질러 바다로 들어간다. 왼쪽으로 돌아와 북쪽으로 흐르다 개모(開母) 북쪽에 이른다. 오른쪽으로 돌아와 동쪽으로 흐르다 동쪽 끝에 이른다. 민산(岷山)는 촉()땅에 있다. 서쪽에서 급류가 가로질러 오히려 지나는 것이다. 개모(開母)는 산 이름이니 동해(東海, 우리나라로는 서해) 안에 있다.

(, 황하)가 적석(積石)에서 나오고 수()가 형산(荆山)에서 나온다. ()의 원()류는 곤륜(崑崙)에서 나와 땅 안에 숨어서 흐르다 막 3천 리()가 되었을 때 우()임금이 물길을 이끌어 이를 통하게 하였다. 그래서 적석(積石)으로 물길이 나오게 되었다. 적석산(積石山)은 금성군(金城郡) 하관현(河關縣, 지금 감숙성 적석산 일대) 서남에 있다. 형산(荆山)은 우공(禹貢)에 나온 북조(北條) 형산(荆山)으로 좌풍익(左馮翊, 섬서성) 회덕현(懐徳縣) 남쪽에 있다. 아래에 형표원(荆漂原)이 있어 옹주(雝州)가 침수되는 것이다.

회수(淮水)는 동백산(桐柏山)에서 나오고 수수(睢水, 하남 개봉)는 우산(羽山)에서 나온다. 동백산(桐柏山)은 상당(上黨)에 있다.

청장(清漳)은 흡려()에서 나오고 탁장(濁漳)은 발포(發包)에서 나온다. 흡려산(楬戾山)은 상당(上黨)에 있고 발포산(發包山)은 일명 녹고산(鹿苦山)이라 하니 역시 상당(上黨) 장자(長子, 산서 장치(長治))에 있다. 두 장()이 하나로 모여 흘러 위군(魏郡)을 지나 청하(清河)로 들어간다.

제수(濟水)는 왕옥(王屋)에서 나오고 시(), (), ()는 대(), (), ()에서 나온다. 왕옥산(王屋山)은 하동(河東) 원현(垣縣) 동북에 있다. (), (), ()는 모두 물 이름이다. (), (), ()은 모두 산 이름이니 있는 곳은 알려지지 않았다.

낙수(洛水)는 엽산(獵山)에서 나온다. 엽산(獵山)은 북지(北地) 서북이(西北夷)(장안성 동쪽인 좌풍익(左馮翊) 귀덕(歸德) 북이계(北夷界)) 땅 안에 있다. ()은 동남으로 흐르다 위수(渭水)로 들어간다.

문수(汶水)는 불기(弗其)에서 나와 흐르다 제수(濟水)와 하나가 된다. 불기산(弗其山)은 북해(北海) 주허현(朱虚縣)(산동 임구현(臨朐縣)) 동쪽에 있다.

한수(漢水)는 파총(嶓冢)에서 나오고 경수(涇水)는 박락산(薄落山)에서 나온다. 파총산(嶓冢山) 한양현(漢陽縣) 서쪽 경계는 한수(漢水)가 나오는 곳이고 남쪽으로 광한(廣漢)으로 들어가 동남으로 옹주(雝州)에 이르러 강()으로 들어간다. 박락산(薄落山)은 일명 계두산(笄頭山)이다. 이 산이 있는 안정(安定) 임경현(臨涇縣, 지금 감숙성 진원(鎭原)) 서쪽은 우공(禹貢)에서 기록된 경수(涇水)가 나오는 곳이다. 동남으로 양도(陽渡) 대활(大滑)에 이른다.

위수(渭水)는 조서동혈(鳥䑕同穴)에서 나온다. 이수(伊水)는 상위(上魏)에서 나온다. 조서동혈산(鳥䑕同穴山)은 농서(隴西) 수양(首陽) 서남에 있으니 곧 위수(渭水)가 나오는 곳이다. 동쪽으로 풍수(灃水)와 만난다. 다시 하()로 들어가니 옹주(雝州) 땅의 천()이다. 상위(上魏)는 산 이름이니 있는 곳은 알려지지 않았다.

낙수(雒水)은 웅이(熊耳)에서 나온다. 웅이산(熊耳山, 지금 섬서성 상락(商洛))은 경사(京師) 상락(上雒) 서북쪽에 있다.

준수(浚水)는 화규(華竅)에서 나오고 유수(維水)는 규주(覈舟)에서 나오며 반수(汾水)는 연경(燕京)에서 나온다. 연경(燕京)은 산 이름이니 태원(太原)에 있다. 반양(汾陽) 북산(北山)은 반수가 나오는 곳으로 서남으로 반양(汾陽)에 이르니 기주(冀州)가 침수된다.

임수(衽水)는 분웅(濆熊)에서 나오고 치수(淄水)는 목이(目飴)에서 나온다. 목이(目飴)는 산 이름이다.

단수(丹水)는 고저(髙褚)에서 나온다. 고저(髙褚)는 일명 총령산(冢領山)이라 하니 경조(京兆) 상락(上雒)에 있다. 이곳은 단수(丹水)가 나오는 곳으로 동쪽으로 균수(均水)에 이르고 면수(沔水)로 들어간다.

고수(股水)는 초산(嶕山)에서 나오고 호수(鎬水)는 선우(鮮于)에서 나오며 양수(涼水)는 모로(茅盧)와 석량(石梁)에서 나온다. 선우(鮮于), 모로(茅盧), 석량(石梁)은 모두 산 이름이다.

여수(汝水)는 맹산(猛山)에서 나오고 기수(淇水)는 대호(大號)에서 나온다. 맹산(猛山)은 일명 고릉산(髙陵山)이라 하니 남정릉현(南定陵縣, 여남군(汝南郡) 정릉현)에 있다. 이곳은 여수(汝水)가 나오는 곳으로 여수는 동남으로 신채(新蔡)에 이르고 회수(淮水)로 들어간다. 대호산(大號山)은 하내(河内) 공현(卭縣) 북쪽에 있다. 어떤 이들은 임려(臨慮) 서쪽에 있다.”고도 한다.

진수(晉水)는 용산(龍山)에서 나온다. 결급합(結給合)은 봉양(封羊)에서 나온다. 결급합(結給合)은 하나의 이름이다. 용산(龍山)은 진양(晉陽) 서북쪽에 있다. 이곳은 진수(晉水)가 나오는 곳으로 동쪽으로 반수(汾水)로 들어간다. 봉양(封羊)은 산 이름이다.

요수(遼水)는 지석(砥石)에서 나오고 부수(釡水)는 경()에서 나온다. 지석(砥石)은 산 이름이니 색외(塞外)에 있다. 요수(遼水)가 나오는 곳이다. 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경산(景山)은 한단(邯鄲) 서남에 있다. 부수(釡水)가 나오는 곳으로 남쪽에 모인 못(南澤)이 장()으로 들어간 그 발원한 물결이 부글부글 솟구치는 것이 바로 솥() 안에 물이 끓는 듯한 형세라 부()라고 한다. 지금 이를 일러 솥 아구리(釜口)라고 한다.

기수(岐水)는 석교(石橋)에서 나오고 호지(呼池)는 노평(魯平)에서 나온다. 노평(魯平)은 산 이름이다. 호지(呼池)는 병주(并州)를 침수(浸水)시킨다. 지금 중산(中山) 한창(漢昌) 호타하(呼沲河)이다.

니도연(泥塗淵)은 만산()에서 나온다. 유수(維水)는 습지 북쪽으로 흘러 연() 땅을 나간다. 북쪽으로 흐르니 연()의 북쪽은 색외(塞外)이다.

 

 

저계(諸稽), 섭제(攝提)는 조풍(條風)이 낳은 것이다. 저계(諸稽), 섭제(攝提)는 천신(天神)의 이름이다. (: ()을 상징하며 동북방이다)이 조풍(條風)이 된다.

통시(通視)는 명서풍(明庶風)이 낳은 것이다. 통시(通視)는 천신(天神)이다. 명서풍(明庶風)은 진괘(震卦, 진은 우레를 상징하며 천지가 교유하며 형통하고, 만물이 진에서 나온다. 방향은 동쪽이다)가 낳은 것이다.

적분약(赤奮若)은 청명풍(清明風)이 낳은 것이다. 적분약(赤奮若)은 천신(天神)이다. (, 바람을 대표하며 나무를 상징한다. 동남방이다.)이 청명풍(清明風)이 된다.

공공(共工)은 경풍(景風)이 낳은 것이다. 공공(共工)은 천신(天神)이다. 사람 얼굴에 뱀의 몸을 가지고 있다. (, , 해를 상징한다)가 경풍(景風)이 된다.

저비(諸比)는 양풍(涼風)이 낳은 것이다. 저비(諸比)는 천신(天神)이다. ()은 양풍(涼風)이 된다.

고계(臯稽)는 창합풍(閶闔風)이 낳은 것이다. 고계(臯稽)는 천신(天神)이다. (, 연못을 상징한다. 서방이다)가 창합풍(閶闔風)이 된다.

우강(隅强)은 부주풍(不周風)이 낳은 것이다. 우강(隅强)은 천신(天神)이다. ()이 부주풍(不周風)이 된다.

궁기(窮奇)는 광막풍(廣莫風)이 낳은 것이다. 궁기(窮奇)는 천신(天神)이다. 북방 길에 산다. 발로 우룡(雨龍)을 타는데 그 모습이 범과 같다. (, 물을 상징)이 광막풍(廣莫風)이 된다.

淮南鴻烈解卷四   髙誘 

凡海外三十六國自西北至西南方有脩股民天民肅慎民脩長也股脚也天民肅慎皆國名一曰肅敬也慎畏也白民沃民女子民丈夫民白民白身民被髮亦白女子民其貌無有鬚皆如女子也丈夫民其狀皆如丈夫衣黄衣冠帶劒皆西方之國股民一臂民三身民奇隻也股脚也言其人一臂一手一鼻也三身民葢一頭有三身皆西方之國自西南至東南方結胷民羽民讙頭國民裸國民三苗民交股民不死民穿胷民反舌民三苗國名在豫章之彭蠡交股民脚相交切不死民不食也穿胷胷前穿孔達背反舌民語不可知而自相曉一說舌本在前不向喉故曰反舌也南方之國名豕喙民鑿齒民三頭民脩臂民豕喙民其喙如豕鑿齒民吐一齒出口下長三尺三頭民身有三頭也脩臂民一國民皆長臂臂長於身皆南方之國自東南至東北方有大人國君子國東南壚土故人大也黑齒民𤣥股民其人黑齒食稻其地在湯上谷𤣥股民其股黑兩鳥夾之見山海經毛民勞民其人體半生毛若矢鏃也勞民正理躁擾不定也皆東方國自東北至西北方有跂踵民句嬰民跂踵民踵不至地以五指行也句嬰讀為九嬰北方之國深目民無腸民柔利民皆北方之國一目民無繼民一目民目在面中央無繼民其人葢無嗣也北方之國雒棠武人在西北陬皆日所入山之名魚在其南硥魚如鯉魚也有神聖者乘行九野在無繼民之南有神二人連臂為帝𠉀夜在其西南方連臂大呼夜行三珠樹在其東北方有玉樹在赤水之上崑崙華丘在其東南方在無繼民之東南爰有遺玉青馬視肉其人不知言也楊桃甘樝甘華百果所生皆異物也在木曰果在地曰蓏和丘在其東北陬四方而髙曰丘鸞所自歌鳳所自舞故曰和丘在無繼民東北陬三桑無枝在其西夸父耽耳在其北方耽耳耳垂在肩上夸父棄其策是為鄧林夸父神獸也飲河渭不足將飲西海未至道渴死見山海經策杖也其杖生木而成林鄧猶木也昆吾丘在南方昆吾楚之祖祝融之孫陸終之子為夏伯軒轅丘在西方軒轅黄帝有天下之號巫咸在其北方巫咸知天道明吉凶立登保之山暘 谷摶桑在東方暘谷日之所出也摶桑在登保之山東北方有娀在不周之北長女簡翟少女建疵有娀國名也不周山名簡翟建疵姊妹二人在瑤臺帝嚳之妃也天使𤣥鳥降卵簡翟吞之以生契是為𤣥王殷之祖也西王母在流沙之瀕地里志曰西王石室在金城臨羌西北塞外樂民拏閭在崑崙弱水之洲水中可居曰洲三危在樂民西三危西極之山名宵明燭光在河洲所照方千里洲水中所居者燭光所照者方千里龍門在河淵湍池在崑崙龍門在河中馮翊夏陽界𤣥燿不周𤣥燿水名一曰山名申池在海隅海隅藪也孟諸在沛孟諸宋澤在睢陽東北少室太室在冀州少室太室在陽城嵩髙下之别名冀堯都冀州冀為天下之號燭龍在鴈門北蔽于委羽之山不見日其神人面龍身而無足蔽至也委羽北方山名一曰龍銜燭以照太隂葢長千里視為晝瞑為夜吹為冬呼為夏后稷壠在建木西建木在都廣都廣南方澤名其人死復蘇其半魚在其間南方人死復生或化為魚在都廣建木間流黄沃民在其北方三百里狗國在其東雷澤有神龍身人頭鼓其腹而熙雷澤大澤也鼓擊也熙戲也地理志曰於禹貢雷澤在濟隂城陽西北城陽有堯塚江出岷山東流絶漢入海左還北流至于開母之北右還東流至于東極岷山在蜀西激水絶猶過也開母山名在東海中河出積石睢出荆山河源出崑崙伏流地中方三千里禹導而通之故出積石積石山在金城郡河關縣西南荆山禹貢北條荆山在左馮翊懐徳縣之南下有荆漂原雝州浸也淮出桐柏山睢出羽山桐柏山在上黨清漳出楬戾濁漳出發包楬戾山在上黨發包山一名鹿苦山亦在上黨長子二漳合流經魏郡入清河也濟出王屋時泗沂出臺台術王屋山在河東垣縣東北時泗沂皆水名臺台術皆山名處則未聞洛出獵山獵山在北地西北夷中洛東南流入渭汶出弗其流合於濟弗其山在北海朱虚縣東漢出嶓冢涇出薄落之山嶓冢山漢陽縣西界漢水所出南入廣漢東南至雝州入江薄落之山一名笄頭山安定臨涇縣西禹貢涇水所出東南至陽渡大滑渭出鳥䑕同穴伊出上魏鳥䑕同穴山在隴西首陽西南直渭水所出東㑹于灃又入河雝州川也上魏山名處則未聞雒出熊耳熊耳山在京師上雒之西北浚出華竅維出覈舟汾出燕京燕京山名在太原汾陽汾水所出西南至汾陽冀州浸衽出濆熊淄出目飴目飴山名丹水出髙褚髙褚一名冢領山在京兆上雒丹水所出東至均入沔也股出嶕山鎬出鮮于涼出茅盧石梁鮮于茅盧石梁皆山名汝出猛山淇出大號猛山一名髙陵山在南定陵縣汝水所出東南至新蔡入淮大號山在河内卭縣北或曰在臨慮西晉出龍山結給合出封羊結給合一名也龍山在晉陽之西北晉水所出東入汾封羊山名遼出砥石釡出景砥石山名在塞外遼水所出南入海景山在邯鄲西南釡水所出南澤入漳其原浪沸湧正勢如釡中湯故曰釜今謂之釜口岐出石橋呼池出魯平魯平山名呼池并州之浸也今中山漢昌呼沲河泥塗淵出樠山維濕北流出於燕流於北燕北塞外也

  諸稽攝提條風之所生也諸稽攝提天神之名也艮為條風通視明庶風之所生也通視天神也明庶風震卦之所生赤奮若清明風之所生也赤奮若天神也巽為清明風共工景風之所生也共工天神也人面蛇身離為景風諸比涼風之所生也諸比天神也坤為涼風臯稽閶闔風之所生也臯稽天神也兌為閶闔風隅强不周風之所生也隅强天神也乾為不周風窮奇廣莫風之所生也窮奇天神也在北方道足乘雨龍其形如虎坎為廣莫風

*아래 지도 그림은 산해경에 나오는 나라들을 위치 지어서 나타냈는데 '백민(白民)'은 표시되어 있지만, 숙신은 없다. 서역 여러나라와도 거리가 있다. 작자 미상의 지도 그림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내려받은 여지도(輿地圖) 사진이다.